제안 배경 및 시스템 개요
2017년 발생한 보행자 사고 47,519건 중 무단횡단 사고는 9,590건 이었으며, 전체 보행사고 중 횡단사고가 63%를 차지 하고 있음
특히, 횡단 사망자 사고 중 신호횡단사고 사망률이 전체의 75%에 육박하고 있음

쉘터형 횡단보도 안전보행시스템
보행자에게 안전한 쉘터 시설 제공
보행 대기자를 쉘터에서 안전하게 대기할 수 있도록 피난공간을 제공
횡단보도 진입부에 쉘터를 설치하여 눈/비, 자외선으로부터 보행자의 피난편의와 보행자에 여유와 심리적 안정감 제공
다목적 횡단보드 방범 CCTV 카메라 시스템
CCTV카메라를 통해 보행자를 자동 인식하여 방범 및 안전지대 구성
보행 신호를 영상으로 자동 인식하여 보행자가 안전하게 횡단할 때까지 모니터링
무단횡단 사전예방
진입부의 쉘터 시설로 횡단보도 보행자를 모이게 하고, 관련장비를 제어
횡단보도 주변에 유도선을 설치하여 횡단 보도를 경유하지 않는 불법 횡단을 최소화
친환경 시스템 + 광고수익 창출
쉘터시설에 태양광발전시설 설치로 필요 전원 자체조달
야간에는 횡단보도 입구부 조명제어를 통해 보행안전사고 예방
다양한 광고 표출 → 수익 창출
제안시스템의 장점
예산에 따라 단계별 선택적 설치 운영
기본단계(쉘터형 횡단보도), 친환경 연계단계(태양광발전기)를 쉘터에 설치하여 조명 및 방범 기능 제공, 안전보행
지역적 특성에 맞게 단계별로 설치운영이 가능
시스템 운영상태 실시간 모니터링
LED 점멸 및 블루투스 근거리 무선통신, 유무선 통신체계와 연동하여 시스템 운영상태를 실시간 감시하여 시스템 운영으로 인한 민원을 ZERO화 및 운영관리 효율을 체계화
시스템 확장 및 친환경에너지 생산
횡단보도에 POI 주변지역 연계정보 및 BIT정보제공을 위한 표시장치 등 다양한 정보제공 체계로의 시스템 확장 가능
태양광 발전을 통한 시스템 운영비용 확보 + 한전연계잔여 전력 판매
필요 시 지자체 시설물 전기사용 제공 가능
다양한 광고 표출을 통한 정기적/비정기적인 수익 창출
정기적인 광고 수익 창출 : 다양한 광고의 연간, 월간 등의 정기계약을 통한 광고 수익 창출
비정기적인 광고 수익 창출 : 이벤트성 광고계약을 통한 비정기적인 수익 창출
전체 시스템 구성 개념
설치 장비 구성도
쉘터 지지대 구성
CCTV카메라영상 (신호등)패턴인식기술
광고용 TV 설치
야간조명용 태양광발전시설 구축 - 친환경전력 자체 조달
설치장비 기능 및 운영 방안
V I S I O N
쉘터 타입 보행자 횡단보도안전 시스템
시스템 운영 방안
1) 주변상가, 또는 기업들의 광고뭉를 수주하여 수익성 사업으로 운영
2) 지방자치단체에 시스템 판매
쉘터 설치장비 및 기능
그늘막 태양광 모듈, 인버터, 축전기, 전원제어기 냉 난방기
: 에어커튼, 적외선램프, 공기살균기
조명장치
: LED 램프
에어 컴프레서
물탱크 및 수중펌프 디스플레이
: LED TV / 전광판
태양광모듈 / 폴 기둥 : 높낮이 전동모터 롤 커튼 네트워크
: 인터넷 망 공유기
제안시스템의 사업성 검토
1. 설치 시장 규모
2016년 기준 전국 횡단보드 217,617개
[서울시 횡단보드 총계 : 34,660 개]
기간 행정자치구
2017 34,660
종로구 993
중구 1,323
용산구 1,007
성동구 1,136
광진구 963
동대문구 1,264
중랑구 1,317
성북구 1,708
강북구 1,097
도봉구 942
노원구 1,361
은평구 1,334
서대문구 1,086
마포구 1,786
양천구 1,474
강서구 1,814
구로구 1,575
서울시 규모의 10% 적용 시 : 횡단보드 3,400개 x 횡단보드 2부스 x 2천만원 = 1천3백6십억원
※ 버스정류장 부스(BIT) 장비 가격 = 700만원 ~ 2000만원 (설치 비 별도)

2. 제안시스템의 사용 전력량 검토
1. 횡단보드 : 3m x 8m
2. 태양광판 : 1,024 x 2,024 x 40mm / 21.7kg / 400W
3. 전력생산량 : 400W x 12장 x 일일 3.6시간 = 일일 발전량 17.3KW
4. 일일 전력사용량 : 10KW
조명 : 18시~07시 = 13시간(인적이 있을 경우 조명 = 6시간)
60W x 6시간 = 360W
에어커텐 : 11시~18시 9시간사용 12개월 중 3개월 사용(7,8,9)
일일 사용 2.2시간 x 380W x 2대 = 1,672W
적외 램프 히터 : 07시~24시 17시간 12개월 중(11,12,01,02,03) 4.5개월 사용
일일 사용 6.3시간 x113W x 4대 = 2,847W
에어 콤프레셔 : 0.5시간 x 770W = 380W
LED TV : 50.5W x 4대 x 24시간 사용 = 4,848W
5. 잉여 전력량 : 일일기준 7.3kW x 365일 = 2,664KW
3. 쉘터 광고의 장점
서울 버스쉘터 매체 특장점
뛰어난 광고 접촉도 및 주목도
다양한 시선 흐름에 자연스러운 광고 노출이 가능하며(승하차객, 승용차 운전자, 주변 통행자 및 버스 탑승 대기자 등), 야간 조명을 통한 높은 가시성 및 주목도 확보
Bus shelter 광고 인지도와 주목도,
한국리서치 2011
교통매체 별 접촉도, 주목도 및 호감도 비교.
제일기획 ACR Media Report 2011
4. 쉘터 광고비용 검토
유사 광고비용 검토 (버스 쉘터)
버스쉘터광고 신단가
기본 상품
구분 단가(2면 기준) 비고
SA+ 300만원 개별판매 가능
SA-V 200만원
SA 160만원
A 100만원
L 30만원
* 1개월 집행 기준, V.A.T별도 / 인쇄게청비 7만원 별도
버스쉘터패키지광고 단가/ S등급제외,
구매 가능액 한도 내에서 패키지 자율 구성
구분 단가/월 서비스 구매가능액
1,000 PACK 1,000만원 10% 1,100만원
2,000 PACK 2,000만원 20% 2,400만원
※ 지하철, 버스안, 엘리베이터 : 별첨참조
6. 횡단보드 쉘터 광고 마케팅 전략
기존 버스 정류장/지하철광고 광고 운영 사업
 
방안 1 : 최고가 낙찰방식 (현행)
매년 공개 입찰공고를 통해서 최고가 낙찰자 선택
광고광고 대행사 모집 입찰
네이버, 다음, 구글 등의 인터넷 매체, 광고전문 언론매체 유료 광고를 활용해서 입찰진행
 
방안 2 : 직접운영방식
직접 광고물 수주 영업 및 모집
"쉘트 횡단보드 LED TV"에 광고물 모집 요청 홍보 동영상 방영
네이버, 다음, 구글 등의 인터넷 매체 유료 광고 활용
초기 : 주변 상가 등 방문 영업 등
쉘트 횡단보드 광고 포탈사이트 운영
광고회사와 협업
비즈니스 파트너로 지속적인 광고물 방영 등의 사업 협업
 
방안 1 + 방안 2 진행 후 → 방안 2 사업진행
 
쉘트 횡단보드 광고 효과
오프라인광고의 지속적 반복노출
소비자들에게 반복노출로 인하여 홈페이지 유입, 문의전화, 브랜드 이미지형성에 큰 영향
온라인광고의 포화상태
온라인광고의 포화상태와 높은 광고료로 인해 많은 업체들이 오프라인광고로 전환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접목된 마케팅
온라인과 오프라인이 적절하게 접목된 마케팅은 온/오프라인에서의 부족한 부분을 상호 보완하여 다양한 경로의 피드백을 기대
유튜브 링크
다양하고 재미있는 유튜브 동영상 콘텐츠 제공으로 시민들의 편안한 횡단보드 쉘트 제공
광고 전문 포탈사이트 운용
7. 광고 사업성 검토 결과
시장성 분석 검토
설치 대수가 많아질수록 광고문의 및 광고효과가 극대화되어 수익률이 높아짐
횡단보드 그늘 막 설치 사업은 신규 설치 광고사업으로 국내와 해외에 시장성이 아주 큼
설치 투자비 대비하여 광고 수익률이 많이 높아서 사업 확장력과 성장력이 아주 높음
만약에 부스단위 광고가 아니고 LED TV 설치 기존으로 유사광고와 비교하면 4배의 광고를 더할 수 있어 광고 수익료 확대가 가능하고 또는 광고료를 저렴하게 접근할 수 있어 초기 접근성과 영업 경쟁력을 높일 수 있음
"선수필승 승자독식"할 수 있는 비즈니스 광고 모델사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