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OT센서 장비종류
중량 감지센서
구성품 구성품 개요
축하중 검출판
(PAD)
- 차량 진입 차로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중량검출기
- 과적(중량)차량 통과 시에 휘어지거나 변형되지 않도록 특수 구조로 제작한다.
- 중량 검출 센서를 자체에 부착하여 제작하고 2개의 축하중 검출판을 1개조로 구성하여 축하중을 측정
- 차로에 설치된 피트프레임에 설치 가능한 구조로 소형으로 제작한다.
피트 프레임
Pit Frame
- 축하중 검출판을 노면에 고정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기초 구조물
- 하중, 진동 등 외부 환경에도 변형이 없도록 견고하게 제작한다.
검출판 크기 : 508mm X 1,750mm X 25mm (SWIM-PD175)
검출판 크기 : 508mm X 1,250mm X 25mm (SWIM-PD125)
온도 동작범위 : -30°C ~ +75°C
습도 동작범위 : 10% ~ 99%
비직선성 : ±1% 이하
반복성 : ±0.8% 이하
편하중 : ±1% 이하
절연저항 : 100MΩ 이상
 
진동 & 스트립 감지센서
명칭 Quartz Ceramic Film
재질 석영 세라믹 PVDF Polymer
제조국
(제조사)
스위스
(KISTLER)
프랑스
(ECM)
미국
(MSI)
주요성능 측정범위 : 0~150kN
균일성 : <±3%
직선성 : ≤±2% FSO
Hysteresis : ≤2% FSO
온도계수 : 0.02%/°C
절연저항 : <100GΩ
사용온도 : -40 ~ +80°C
측정범위 : -
균일성 : <±20%
직선성 : -
Hysteresis : -
온도계수 : -
절연저항 : <1000MΩ
사용온도 : -30 ~ +70°C
측정범위 : 0~400lb
균일성 : >±7%
직선성 : ≤±5% FSO
Hysteresis : -
온도계수 : 0.2%/°F
절연저항 : <500MΩ
사용온도 : -40 ~ +70°C
운용안정성

센서특징
- Ghost Azle 현상방지
- 정적인 신호특성을 가지고 있어 교정작업 용이
- 온도 영향을 거의 받지 않아 장기간 운용에도 매우 안정적
- Ghost Axle 현상 발생
- 온도특성이 좋지않으므로, 장기간 사용 시 안정성에 관한 고려가 이루어져야함.
- Ghost Axle 현상 방지
- 신호특성은 좋으나 온도 특성이 좋이 않으므로, 장기간 사용시 안정성에 관한 고려가 이루어져야함.
- AVC용으로 적합.
측정정확도
(신뢰도)
±2%
(상대적으로 높음)
±7%
(중간수준)
±7%
(상대적으로 낮음)
최저 계중속도 5km/h 20km/h 5km/h
내구연도 2~3년 5년 2년
단면도


 

테스트
속도
수정(Quartz) 필름(PVDF) 세라믹(Ceramic)
총중량(kg) 에러율 총중량(kg) 에러율 총중량(kg) 에러율
30Km/h 2536 -10.3% 2120 -23.7% 2506 -9.9%
50Km/h 2514 -9.6% 2281 -17.9% 3110 11.9%
70Km/h 2488 -10.5% 2314 -16.8% 3367 21.1%


평균온도 수정(Quartz) 필름(PVDF) 세라믹(Ceramic)
총중량(kg) 에러율 총중량(kg) 에러율 총중량(kg) 에러율
10.2°C 2644 -4.9% 2077 -25.3% 1157 -58.4%
22.2°C 2604 -6.3% 2767 -0.5% 2059 25.9%
34.4°C 2631 -5.4% 3239 16.5% 2948 6.1%
출처 : Xiaohua Jiang et al.Improvements in Piezoelectronic Sensors and WUM Data Collection Technology, Annual Conference of the Transportation Association of Canada 2009.



낙석감지 3축 센서



Sector S에 사면관리를 위하여 3개의 센서(A~C)를 설치하였으며,
3개의 센서 중 센서 B가 힘을 받아 1차적으로 센서 B의 위치 변화가 발생하고 이로 인해 Sector S가 변형된 상태임

① 센서 A의 변화

- 센서 A는 센서 B가 받은 힘의 영향으로 wire a의 장력이 증가하여 A의 수평변이 유발
- 센서 A의 수평변이는 Z축 변화의 유효범위 내에 있으며, X와 Y축의 변화가 검지됨

② 센서 C의 변화

- 센서 B의 위치 변이로 wire b의 장력이 느슨해짐에 따라 센서 C는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수평변이가 발생함.
- 이때 센서 A의 수평변이는 Z축 변화의 유효범위 내에 있으며, X와 Y축의 변화가 검지

③ 센서 B의 변화

- 힘의 영향으로 센서 B의 수평 및 수직변이가 발생.
- 이때 센서 B의 수평변이 X와 Y축의 변화가 발생되며, 수직변이는 Z축에 변화가 발생되어 이를 검지.


열 감지 센서
산불감지 센서 기술
열전달에 기반한 산불감지 센서
산불상황인지(Context Awareness) 모델 확립
센서에 전달되는 On-Off에 따라 감지능력을 생산하는 특징
네트워크 기반으로 산불 모니터링 섹터 구분

Loop 네트워크 기반의 추론 기술
사건-행위(Event-Behavior) 감지 모델 구축
산불감시 영역내 실시간 메모리 기반 모니터링 기술


각종 제어기
용도에 따라 제어기 선택 및 개발 및 제작 가능